Agro-/Agritech 12

살충제의 작용과 특징

1. 해충방제용 농약의 작용점가. 살충제의 작용점 종류 살충제는 일반적으로 ①곤충의 신경계에 작용하거나 ②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해 호흡을 저해하거나 ③해충 체내의 에너지대사 교란 ④호르몬 기능 교란 등 다양한 작용을 통해 해충을 죽게 한다. 나. 살충제의 작용점 도달 경로 살충제는 해충 체내 침입경로에 따라 입을 통해 들어가 죽게 하는 식독제(소화중독제), 곤충의 몸(체벽)이나 다리의 마디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 죽게 하는 접촉독제, 호흡을 통한 흡입 독제로 구분한다.  1) 식독제 살충제 식독제 살충제는 해충의 입을 통해 들어가 중장 내에서 흡수되어 해충을 죽게 하는 약제로 곤충 중장의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산성 용액에 잘 용해되는 약제는 중장의 pH가 산성인 딱정벌레목 해충에 살충효과가 높다...

Agro-/Agritech 2024.08.09

농약의 분류

가.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농약을 식물 병의 원인인 미생물 (진균, 세균, 원생동물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살균제 (殺菌劑),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살충제 (殺蟲劑), 거미강에 속하는 응애를 방제하기 위한 약제인 살비제 (殺螕劑), 선형동물문에 속하는 선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선충제 (殺線蟲劑),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인 제초제 (除草劑), 식물의 생육촉진, 억제, 개화촉진, 낙과방지 등 식물의 생육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식물생장조절제 (植物生長調節劑) 및 보조제 (補助劑)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1. 살균제(殺菌劑, Fungicide) (가) 사용목적 1) 종자소독제: 작물 종자·종묘의 표피 및 내부에 감염된 미생물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베노밀..

Agro-/Agritech 2024.07.09

농약의 명명법

모든 농약은 원소의 구성 정도에 따라 일정한 화학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농약의 이름은 화학명(Chemical Name)으로 명명할 수 있다. 화합물의 체계적인 명명법은 IUPAC(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혹은 CA(Chemical Abstract) Service에서 규정한 명명법에 따라 화학명이 붙는다. 그러나 화학명은 그 화합물을 구성하는 모든 원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화합물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름이 길어지게 되어 일반인들은 명명을 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농약을 구성하고 있는 모핵 화합물의 이름을 암시하면서 단순화시킨 일반명(Common Name)을 만들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명은 화학명에서 ..

Agro-/Agritech 2024.06.14

식물공장 (1) 정의와 특징

식물공장은 작물 재배기술에 자동화, 빛(광) 제어, IT 등 첨단 기술을 융·복합한 차세대 농업기술로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의 연중 계획생산을 통해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동력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식물공장이란 ‘환경조절을 통해서 작물의 주년생산과 계획생산이 가능하며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조절할 수 있는 공장형 식물생산시스템’ 을 의미한다. 즉 통제된 시설 내부의 온도, 광, 이산화탄소 농도, 배양액 등 작물 재배 환경조건을 인위적으로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을 연중 계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농법이다. 식물공장의 핵심기술은 ‘P.L.A.N.T’ 로 정리할 수 있다.  Place (장소) : 사막이나 바다, 극지 등..

Agro-/Agritech 2024.05.30

식물조직배양 기술의 이용

식물은 우리에게 생존과 발전의 핵심 역할을 한다.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하고, 식량, 의약품, 산업 소재 등을 제공하여, 식물을 최고의 공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산업화로 인한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식물을 비롯한 생물종이 위협받고 있어, 유엔은 1993년 '생물다양성협약'을 체결해 생물종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물종이 계속 감소하거나 멸종하고 있다. 이에 식물조직배양기술은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을 복원하거나 농작물을 대량 번식할 수 있는데 더해, 유용한 소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주목 받고 있다. 식물조직세포는 '전형성능, totipotency'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환경에서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용 식물을 대량 생산할 수도 있..

Agro-/Agritech 2024.05.01

친환경 농산물 인증 제도

친환경 농산물이란, 친환경 농업을 통해 얻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을 뜻한다.친환경 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항생제, 향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생물 다양성을 높이고, 토양에서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친환경 농산물 인증이란,정부가 지정한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검사해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산물임을 인증해주는 제도다. 친환경 농산물 관리 토양과 물은 물론 생육과 수확 등 생산·출하 단계에서 인증기준을 준수했는지 엄격한 품질 검사를 한다. 또한 시중 유통품에 대해서도 허위표시를 하거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인..

Agro-/Agritech 2024.04.26

스마트팜과 스마트농업

스마트팜이란, 비닐하우스 ․ 유리온실 등의 시설원예, 축사 등에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 ․ 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 ․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스마트농업은 시설원예, 축산, 노지작물 ․ 과수 분야에 생산 ․ 유통 ․ 소비 분야와 전후방산업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며, 전후방산업은 종자부터, 자율주행 농기계, 드론, 로봇 등을 말한다. 즉 모든 분야에 ICT 기술을 융복합하여 생산의 정밀화, 유통의 지능화, 경영의 선진화 등 농업에 새로운 가치 및 혁신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농업 추진 사례 미국 미국 농업은 영농규모가 크고 첨단기계의 사용이 활발해 농산물 생산량 및 교역량 측면에서 세계적으..

Agro-/Agritech 2024.04.22

지속가능한 농업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저탄소 농업기술

저탄소 농업기술은 농업 생산과정 전반에 투입되는 비료를 비롯해 농약, 농자재 및 에너지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영농방법 및 기술을 말한다.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대하여 순배출량이 ‘0’이 되는 것을 탄소중립 혹은 ‘넷제로(Net-Zero)’라고 말한다. 국내외 저탄소 농업기술 현황1. 벼 재배 과정 중 물관리 일반적으로 간단관개(Intermitted irrigation)라고 알려져 있는 물관리 방법은 벼 생육을 위해 물이 필요하지 않은 무효분얼기간 중에 논에 물을 빼주어 혐기토양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 방법으로, 산소가 공급된 토양은 호기상태로 전환되어 메탄(CH4) 배출량이 감소된다. 농가들은 이를 중간..

Agro-/Agritech 2024.04.17

저탄소 농산물 인증과 농업기술

저탄소 인증 농축산물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난방에너지 절약, 농기계 사용저감, 자가제조 비료 사용 등 저탄소 농업기술로 생산하는 농가에게 부여한다. 비료, 농약, 살충제 등을 적정량만 사용하고, 땅을 갈아엎지 않는 등 기계적 에너지를 최소화한다. 또한 화석연료 대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식을 사용한다. 저탄소 농산물 인증은 친환경·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을 취득한 농산물을 대상으로 저탄소 농업기술을 활용하여 품목별 평균배출량보다 적게 배출한 경우 부여한다. 유통사의 환경·사회·투명(ESG) 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화되면서 저탄소 인증 농산물은 유통사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인증을 받고자 하는 농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유효 인증 농가 수 :..

Agro-/Agritech 2024.03.29

조직배양묘의 순화과정

조직배양묘는 인공적으로 기내에서 자란 연약한 식물체이므로 온실이나 일반자연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순화과정이 필요하다.  순화초기 단계에서는 시험관내의 배지에서 잎과 뿌리가 자라는 중에 있는 것이므로 일정기간동안 적응할 수 있도록 경화를 시켜야 하며 이때에는 병해방제에 주의해야 한다.  순화기간 조직배양묘를 바로 온실에서 재배 할 경우, 습도, 온도 광등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기간이 길고 손상이 많기 때문에 순화과정을 거친다. 순화방법  1) 미리 배양병 뚜껑을 열고, 1 주일 정도 방치하거나,2) 유묘를 처음부터 약 1~2 개월간 자연광하에서 생육시키는 방법이 있다.  자연상태에서 배양묘의 노출이 길수록 순화시 묘의 손상이 적고 튼튼하다.배양묘 꺼내기 묘를 꺼내 한천을 깨끗이 씻어낸 후 1 주씩 묘를 ..

Agro-/Agritech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