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이란, 비닐하우스 ․ 유리온실 등의 시설원예, 축사 등에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 ․ 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 ․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농업은 시설원예, 축산, 노지작물 ․ 과수 분야에 생산 ․ 유통 ․ 소비 분야와 전후방산업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며, 전후방산업은 종자부터, 자율주행 농기계, 드론, 로봇 등을 말한다. 즉 모든 분야에 ICT 기술을 융복합하여 생산의 정밀화, 유통의 지능화, 경영의 선진화 등 농업에 새로운 가치 및 혁신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농업 추진 사례
미국
미국 농업은 영농규모가 크고 첨단기계의 사용이 활발해 농산물 생산량 및 교역량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차지함
스마트팜 관련 오랜 R&D 추진으로 정밀농업, 처방농업 등 전세계적으로 노지 분야에서의 최첨단 농업 관련 기술 선도
클라이밋 코퍼레이션(Climate Corporation), 파머스 비즈니스 네트워크 (Farmers Business Network) 등과 같은 빅데이터 기반 농장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파밍(Data Farming) 기업들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모델이 활성화되어 있음
네덜란드
좁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첨단유리 온실 및 차세대 식물 생산시스템 등의 식물공장에 대한 R&D 추진
수출구조의 농업으로 생산성 제고, 기업과 대학이 주도하고 중앙 ․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산업클러스터를 구축 ․ 육성하여 산업성장 및 수출 견인
프리바(Priva), 홀티맥스(Hortimax) 등의 기업들은 글로벌 온실 솔루션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
일본
국토가 좁은 특성상 효율적으로 토지를 활용하고자 네덜란드를 벤치마킹하여 일본 환경에 맞는 식물공장 개발 등을 통해 유기농 채소 및 과수 관련 분야 기술이 특화되어 있음
최근에는 노지 중심으로 다양한 품목을 대상으로 첨단 농기계, 기술 현장 보급 사업 등 스마트농업 실증사업을 적극 추진중
스마트농업 실현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집약, 통합된 농업데이터연계기반 플랫폼인 WAGRI를 운용하고 있음
출처 : 스마트농업 육성사업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http://www.nabo.go.kr)
'Agro- > Agri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조직배양 기술의 이용 (0) | 2024.05.01 |
---|---|
친환경 농산물 인증 제도 (0) | 2024.04.26 |
지속가능한 농업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저탄소 농업기술 (0) | 2024.04.17 |
저탄소 농산물 인증과 농업기술 (0) | 2024.03.29 |
조직배양묘의 순화과정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