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감자 28

두백 감자

1998년 (주)오리온 육성, 보급중만생종 (110~120일), 전분함량이 높음 - 가공용으로 적합생리장해가 적고 기호성이 높음찐감자 (분이 많이 남), 감자전, 감자칩, 감자튀김 등 두백은 분질 특성의 감자이며, 용도는 찜, 튀김(칩용)에 적합하다. 감자의 모양은 둥근 편이며, 유백색의 육색을 가지고 있다.  재배시 유의사항은 가뭄에 주의하고 토양의 수분을 40~50%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생육에 유리하다. 만생종의 특징을 가지므로 파종일로부터 120일 이상 지난 후 수확해야 한다. 타품종 대비 맹아(감자싹) 출현 시기가 늦기 때문에 완전히 휴면타파를 시킨 후 파종하여야 한다. 생육기간이 길기 때문에 퇴비와 비료를 충분히 시비한다 (약 20% 이상)

Agro-/감자 2024.11.13

2024년 봄감자 생산량, 수확량

봄감자 생산량은 39만 7,613톤으로 전년의 35만 8,022톤보다 3만 9,591톤(11.1%) 증가 ❍ 재배면적: (’23) 14,699㏊ → (’24) 15,521ha ( 5.6%) ❍ 10a당 생산량: (’23) 2,436㎏ → (’24) 2,562kg ( 5.2%) ❍ 총 생산량: (’23) 358,022톤 → (’24) 397,613톤 (11.1%)   □ 재배면적은 1만 5,521ha로 전년의 1만 4,699ha보다 822ha(5.6%) 증가 ❍ 파종기 가격 호조 등의 영향으로 재배면적 증가(5.6%)* 감자 가격(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도매, 수미(노지), 상품, 1kg)연 평 균: (’21) 1,618원 → (’22) 2,341원 → (’23) 2,303원 → (’24) 1,982원 /..

Agro-/감자 2024.09.11

새봉 감자

‘새봉’은 2010년말 새로 육성된 칩가공용 2기작 감자품종이다.  ‘새봉’은 건물함량이 높아서 기름을 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환원당함량이 낮아 기름에 튀겼을 때 칩의 색깔이 밝은 특성이 있다. 괴경모양이 둥글고 숙기가 빠르기 때문에 조기재배에 적합하다. 감자 괴경의 겉은 담황색이지만 속은 흰색이다. 잎이 작고 좁으며 꽃은 흰색으로 피며 열매가 많이 달리는 편이다. 건물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아 칩가공 수율이 높다. 바이러스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씨감자 생산이 비교적 수월하다. 또한, 휴면기간이 50~60일 정도로 짧아 남부지방 뿐만 아니라 중부 해안지방에서도 봄, 가을 연중 두 번 재배할 수 있으며, 90~95일 정도면 수확할 수 있는 조생종이기 때문에 재배기간이 짧은 가을재배에 유리하다. ‘고운..

Agro-/감자 2024.06.09

감자 반쪽시들음병

1. 감자 반쪽시들음병 특징 1) 원인 병원균: 버티실리움(Veticillium spp.) 2) 생육온도: 21~27℃ 3) 피해 식물: 감자, 배추, 무, 토마토 등 260종 이상 4) 국내 첫 발생: 2014년 배추에서 처음 발생 5) 최근 동향: 기주작물의 연작과 이상기후로 발생 증가 (작년 강원도 태백 고랭지 배추 재배지의 20% 이상 발생)  2. 감자 반쪽시들음병 증상 1) 성장 감소와 잎 황화: 잎의 황화는 성숙에 의한 것보다 빠르게 발생하고 군데군데 불규칙하게 나타남 2) 한쪽 편에서만 증상: 잎이나 줄기의 한쪽 편에서만 시드는 특징3) 잎 갈변 및 낙엽: 병든 잎은 갈색으로 변하면서 시들고 떨어짐 4) 줄기 내 도관부 갈변: 줄기를 잘라보면 뿌리 부위부터 갈색으로 변함5) 감자 덩이줄기 ..

Agro-/감자 2024.05.27

감자 흑각병 (줄기검은병)

감자 흑각병은 병원세균인 흑각병원균(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에 의하여 감자의 지상부 및 괴경에 썩음증상을 나타내는 병으로, 병든 씨감자의 조직에서 싹이 난 줄기가 병원세균의 침입을 받아 줄기조직이 썩고 검게 변하여 흑각(黑脚)증상을 나타낸다. 흑각병원균(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은 세균의 일종으로 2~7개의 편모를 가진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통성혐기성이며, 세균의 크기는 0.6~0.8× 1.5~2.5㎛이다. 또한, 흑각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8~30℃이며 생육이 빠르고 병든 씨감자와 함께 토양중에서 월동·생존하며 씨감자를 심은 후에 토양환경이 저온·다습할 경우 많이 발병한다. 또한 저장에 있어서 종서 관리상태는 감자 흑각..

Agro-/감자 2024.05.10

감자의 기원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에서 많은 종류의 야생종 감자가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이 지역이 감자의 원산지로 알려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1만 3천 년 전부터 칠레 해안을 따라 자라는 야생감자가 안데스산맥으로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감자 관련 유물로는 남아메리카 페루 북부해안 지역의 잉카문명 유적지에서 발견된 감자 덩이줄기형태의 초기조형물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이 유물을 기초로 4세기 무렵에 이미 이 지역에서 감자가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6세기경 이 지역을 침략한 스페인 사람들에 따르면, 그들이 도착했을 때 이미 원주민들은 감자를 길러 먹고 있었으며, 감자를 Imoza, Iomuy, Papa 등으로 부르고 있었다고 한다.2008년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Agro-/감자 2024.04.29

감자의 생장과 발달 (6) 감자의 생육에 관여하는 환경요인

1. 온도 감자의 생육은 싹부터 시작되는데 싹은 5℃부터 자라게 되는데 자라는데 적당한 온도가 비교적 낮은(호냉성) 작물이다. 덩이줄기가 굵어지는데 좋은 온도는 15-18℃이고, 지상부인 잎과 줄기의 발육에는 21℃가 가장 적당하다. 온도가 높으면 잎이 작아지고 주름이 생기며, 27-30℃ 이상에서는 땅속줄기의 형성과 덩이줄기 비대가 정지되고 호흡작용이 왕성하여 동화물질이 감자 덩이줄기에 쌓이기보다는 호흡을 통하여 소모되는 양이 많아진다. 그러나 낮에는 비교적 온도가 높더라도 밤 온도가 낮으면 동화물질의 축적에 유리하므로 밤낮 온도차가 큰 것이 덩이줄기의 비대를 충실하게 하는데 좋다. 따라서 보통 감자가 자라기에 적당한 온도는 14-23℃이며, 덩이줄기가 굵어지는데는 낮 온도가 23-24℃이고, 밤 온도..

Agro-/감자 2024.04.19

감자의 생장과 발달 (5) 감자 생장단계별 관리요령

1. 파종 후부터 출현 싹이 자라기 시작한 씨감자를 파종할 경우 파종 후 20-30일경에 지상부로 싹이 출현한다. 씨감자의 싹은 5℃ 이상에서는 자라기 시작하므로 싹이 빨리 땅 위로 올라오게 하기 위해서는 온도, 토양수분 등의 환경을 싹의 생육에 알맞게 조절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봄재배와 단경기에 재배하는 겨울시설재배에 있어서 감자를 심은 후 싹이 나올 때까지 온도가 낮아 출현이 늦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우리나라 봄재배의 경우 여름철 온도가 높아지고 장마가 오기 전에 수확을 마무리해야 하므로 수량증대나 품질향상을 위한 재배기간 연장은 빠른 출현을 유도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때 싹의 출현기간이 일반적으로 30-45일이 소요되는데, 이는 감자의 전체 생육기간을 90-100일로 보았을 때 생육기..

Agro-/감자 2024.04.16

감자의 생장과 발달 (4) 덩이줄기의 휴면과 생리적 서령

1. 휴면의 정의 감자는 수확후 일정기간 싹이 나기에 적당한 조건이 주어져도 싹이 나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덩이줄기가 일정기간 잠을 자듯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 활동 외에 다른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을 휴면(休眠)이라 한다. 휴면은 수확후 일정기간 적당한 환경조건이 주어져도 싹이 나지 않는 자발휴면(自發休眠)과 자발휴면이 종료된 후에도 불량한 환경조건(예, 저온)에 의해 맹아*되지 않는 타발휴면(他發休眠)으로 구분된다. *맹아 : 정상적인 눈에서 발달한 가지가 아닌 잠아나 혹은 부정아에서 발달한 움가지. 새싹. [萌芽] sprout, coppice shoot, stump plant, ぼうが 2. 휴면기간 감자의 휴면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땅속줄기의 끝에 덩이줄기가 형성되는 시점을..

Agro-/감자 2024.04.16

감자의 생장과 발달 (3) 덩이줄기의 형성, 비대와 성숙

1. 덩이줄기의 형성 지하부를 뻗어가던 땅속줄기의 끝이 굵어지면서 덩이줄기가 형성된다. 덩이줄기가 형성되는 시기는 지상부의 엽면적 지수(단위면적당 잎의 면적비율)는 보통 1-2의 범위에 도달하며, 덩이줄기형성에는 통상 10-14일 정도가 소요된다. 이 시기는 ① 땅속줄기가 자라는 시기 ② 땅속줄기 끝이 방추상태로 되는 시기 ③ 땅속줄기 끝이 부풀어올라 가로 축과 세로 축의 차이가 적은 시기 ④ 덩이줄기형성이 완성되는 시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감자 덩이줄기의 형성은 일장, 온도 및 일조 등 외부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 환경요인이 식물체내 호르몬의 질적, 양적 변화를 일으키며 그 결과로 덩이줄기가 형성된다. 예전에는 덩이줄기의 형성은 식물체내 탄소와 질소의 비율(C/N율)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

Agro-/감자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