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농약을 식물 병의 원인인 미생물 (진균, 세균, 원생동물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살균제 (殺菌劑),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살충제 (殺蟲劑), 거미강에 속하는 응애를 방제하기 위한 약제인 살비제 (殺螕劑), 선형동물문에 속하는 선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선충제 (殺線蟲劑),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인 제초제 (除草劑), 식물의 생육촉진, 억제, 개화촉진, 낙과방지 등 식물의 생육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인 식물생장조절제 (植物生長調節劑) 및 보조제 (補助劑)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1. 살균제(殺菌劑, Fungicide)
(가) 사용목적
1) 종자소독제: 작물 종자·종묘의 표피 및 내부에 감염된 미생물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베노밀, 티람, 프로클로라즈, 플루디옥소닐 등이 있다.
2) 경엽처리제: 작물의 생육기에 줄기, 잎, 과실 등에 감염된 미생물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대부분의 살균제가 이 범주에 속한다.
3) 저장병방제제: 수확한 과실 등의 저장 중 부패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미 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크레속심메틸, 티아벤다졸 등이 있다.
4) 토양소독제: 토양 중의 병원미생물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다조멧, 메탐소듐 등이 있다.
(나) 작용특성
1) 보호살균제(Protectant)
식물체 내로 침투하는 능력이 낮아서 병 발생 전 (병원균이 식물체 표면에 닿기 전)에 살포해야 효과가 있는 것을 말한다.
가) 무기구리제(無機銅劑): 보르도액, 코퍼옥시클로라이드, 코퍼하이드록사이드 등
나) 유기구리제(有機銅劑): 옥신코퍼,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 등
다) 무기유황제(無機硫黃劑): (결정)석회황, 황 등
라) 유기유황제(有機硫黃劑): 디티오카바메이트계(만코제브, 티람 등)
마) 기타: 퀴논계(디티아논), 아릴나이트릴계(클로로탈로닐)
2) 직접살균제(Eradicant)
병원균의 발아와 침입방지뿐만 아니라 침입한 병원균을 살멸시킬 수 있으므로 발병 후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식물체 내로 침투하는 능력이 높다. 유기합성 살균제 및 항생물질 다수가 이 범주에 속한다.
3) 기타
종자나 종묘체 감염된 병원균을 방지하기 위한 종자소독제, 토양 중의 병원균을 살멸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토양소독제, 과실의 저장 중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과실방부제 등으로 분류된다. 병해의 종류에 따라 도열병약, 탄저병약 등으로 세분하기도 한다.
2. 살충제(殺蟲劑, Insecticide)
(가) 사용목적
1) 경엽처리제: 작물의 생육기에 줄기, 잎, 과실 등을 가해하는 해충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대부분의 살충제가 이 범주에 속한다.
2) 토양처리제: 토양 중의 해충을 살멸시키는 것으로 전작물용 입제, 살선충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나) 작용특성
1) 식독제(喰毒劑, Stomach Poison)
소화중독제라고도 한다. 식물체 표면에 약제성분을 부착시켜 해충이 먹이와 함께 약제를 먹게 해 해충의 소화기관 내로 들어가 독작용을 한다.
가) 유기인계: 다이아지논, 아세페이트, 클로르피리포스, 펜티온 등
나) 카바메이트계: 메티오카브, 티오디카브 등
다) 비티(Bt)계: 비티아이자와이, 비티쿠르스타키 등
2) 접촉독제(接觸毒劑, Contact Poison)
해충의 체벽 (표피) 접촉을 통해 체내로 침투함으로써 독작용을 약제로 잔효력이 짧은 직접 접촉독제 (Direct Contact Poison)와 잔효력이 긴 잔류성 접촉독제 (Residual Contact Poison)로 구분한다. 대부분의 살충제는 접촉독제에 속한다.
3) 침투성살충제(浸透性殺蟲劑, Systemic Insecticide)
약제를 식물의 뿌리 (일부는 잎)에 처리해 식물체 내로 흡수·이행시켜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부위에도 분포하게 함으로써 흡즙성 해충을 방제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입제 형태 살충제 (토양해충 방제제 제외)가 이 범주에 속한다.
가) 카바메이트계: 벤퓨라카브, 카보퓨란 등
나)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에토펜프록스
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디노테퓨란, 아세타미프리드, 티아메톡삼 등
3. 살응애제(殺劑, Acaricide, Miticide)
응애류는 그 종류가 많고 1년 동안 여러 번 세대교체를 하므로 성충, 유충, 알 등도 죽일 수 있어야 하며 응애류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제를 말한다 (예: Hexathiazox, Clofentezine). 그러나 대부분의 살응애제는 살충효과를 겸비하는 것이 많다.
4. 살선충제(殺線蟲劑, Nematicide)
토양 또는 작물의 뿌리나 하부에 기생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선충을 죽이는 약제이다. 토양 중에 서식하는 선충은 주로 토양훈증제로 방제가 가능하고 작물을 가해하는 선충은 침투성 살충제로 방제가 가능하다.
5. 살연체동물제(殺軟體動物劑, Molluscicide)
살연체동물제는 사람이나 정원·온실·농장 등의 식물 등 개체 숙주에 기생해 중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 달팽이류의 방제에 사용하는 화합물이다 (예: Nicosamide).
6. 살서제(殺鼠劑, Rodenticide)
설치류의 발제에 사용하는 화학물로서 쥐약이라고도 한다 (예: Warfarin).
7. 살조제(殺鳥劑, Avicide)
조류(鳥類)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합물이다 (예: Avitrol).
8. 살어제(殺魚劑, Piscicide)
일반적인 어류에 대해 비선택적으로 독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하며 물에서 모든 물고기를 제거한 후 원하는 어류만 기르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이다 (예: Rotenone).
9. 제초제(除草劑, Herbicide)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수탈하거나 작물의 생육환경을 불리하게 하며 작물의 생육에 경쟁적 식물인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이다.
제초제는 그 작용특성에 따라서 ①선택성 제초제 (2,4-D, Simazine) ②비선택성 제초제 (Paraquat, Diquat)로 구분되며, 작용기작에 따라서 ①광합성 저해제 (Diuron, Simazine) ②광활성화에 의한 독물 생산제 (Paraquat, Oxyfluorfen) ③산화적 인산화 저해제 (PCP, DNBP) ④식물호르몬작용 저해제 (2,4-D, Dicamba) ⑤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Bialaphos, Metolachlor)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초제는 사용시기에 따라서 ①발아전 처리제 (Pre-Emergence) ②발아 후 처리제 (Post-Emergence)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토양처리제 (Butachlor, Thiobencarb) 및 경엽처리 (Bentazone, 2,4-D)라고도 부른다.
10. 살조류제(殺藻類劑, Algicide)
담수나 해수에서 서식하는 조류의 생물학적인 활성을 저해하거나 줄이는 화합물을 말한다 (예: Copper-Triethanolamine).
11.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
식물의 생육촉진 또는 억제, 개화촉진, 낙과방지 또는 촉진 등 식물의 생육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로 식물호르몬계와 비호르몬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식물호르몬계(Phytohormone)
식물호르몬계는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진 옥신, 지베렐린, 사이토카이닌, 아브시스산, 에틸렌, 브라시노라이드 등을 직접 이용하거나 화학적인 구조가 유사한 합성 호르몬을 이용하는 것이다.
1) 옥신류 (Auxins): 나드, 사-시피에이 ⇒ 생장촉진, 낙과방지
2) 지베렐린류 (Gibberellines): 지베렐린산, 지베렐린에이포 등 ⇒ 생장, 비대촉진
3) 시토키닌류 (Cytokinins): 육-비에이 ⇒ 생장, 비대촉진, 착립증진
4) 에틸렌 (Ethylene) 발생제: 에테폰 ⇒ 숙기촉진
(나) 비호르몬계(Non-Phytohormone)
식물 생장에 영향을 주는 비호르몬성 합성물질을 말한다.
1) 에틸렌 (Ethylene) 억제제: 일-메틸사이클로프로펜 ⇒ 저장성 향상
2) 생장억제제: 다이 디브로마이드, 말릭하이드라자이드, 메피 클로라이드, 뷰트랄린, 프로헥사디온칼슘 등
3) 생장촉진제: 나이트로페놀레이트, 포클로르페뉴론
4) 신장억제제: 다미노자이드, 디니코나졸, 이나벤파이드, 이프로벤포스 등
12. 생물농약(生物農藥, Biotic Pesticide)
해충의 천적 (기생봉, 병원균, 바이러스)을 이용해 해충을 방제하는 약제이다. 또한 병원균에 저항하는 미생물도 일정의 생물농약이라 할 수 있다 (예: Bt제, 기생벌).
13. 혼합제(混合劑, Combined Pesticide)
사용목적 또는 작용특성이 서로 다른 2종 또는 그 이상의 약제를 혼합해 하나의 제형으로 제제한 약제를 말한다. 병원균과 해충을 동시에 방제하는 살균·살충제, 2종 이상의 병원균 또는 해충을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혼합살균제·혼합살충제, 1년생 및 다년생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는 혼합제초제 등이 있다 (이소피 유제: Isoprothiolane+Fenobucarb, 하나로 수화제: Pencycuron+Isoprocarb).
14. 보조제(補助劑, Supplemental Agent, Adjuvant)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 농약 주제의 효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총칭하며 보조제 그 자체에는 약효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 전착제(Spreader)
농약의 주제를 병해충이나 식물체 표면에 잘 확전·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살포용 보조약제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제농약에는 전착제의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preader-Sticker, Polyoxy Ethlenealkyl Aryl Ether+Sodiumligno Sulfonate).
(나) 증량제(Diluent, Carrier)
입제, 분제, 수화제 등과 같이 고체농약 제제 시 주성분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부피를 증대시킨 것으로, 농약의 주성분을 목적물에 균일하게 살포해 농약의 부착질(附着質)을 향상시키는 재료를 말한다. 증량제는 주로 활석 (Talc), 카오린 (Kaoline), 벤토나이트 (Bentonite), 규조토 (Diatom Earth) 등의 광물질이 사용되나 수용제의 증량제로는 수용성의 설탕이나 유안 등이 사용된다. 유제나 수용제 등의 농약을 희석할 때 사용되는 물도 일종의 증량제라고 말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앞에서 말한 광물질의 증량제를 말한다.
(다) 용제(Solvent)
유제나 액제와 같이 액상의 농약을 제조할 때 주제(원제)를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주로 자일렌 (Xylene), 벤젠 (Benzene) 등이 사용되나 주제의 특성에 따라 각종 유기용매가 사용되기도 하며 액제의 경우 물이나 메탄올 (Methanol)이 용제로 사용된다.
(라) 유화제(Emulsifier)
유제의 유화성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주로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마) 협력제(Synergist)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서 효력 증진제라고도 한다. 협력제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피페로닐 뷰톡사이드 (Piperonyl Butoxide)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일부 피레스로이드 (Pyrethroid) 화합물이 다른 약제에 협력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 약해방지제(Safener)
어떤 농약이 작물에 약해를 유발해 사용되지 못할 때 이 약해를 일으키는 인자를 제거시켜 주는 화학물질이다. 클로로아세트아미드 (Chloroacetamide)계 제초제에 이용되고 있는 약해방지제는 펜클로림 (Fenclorim)이다.
나. 작용특성에 따른 분류
농약이 유해생물에 독성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정지 또는 교란하는 효과가 있어야 한다. 농약에 의해 공격을 받는 생체 내의 특정부위를 작용점 (作用點, Target Site)이라 하고, 독성을 유발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 (생화학적 경로)을 작용기구 (作用機構, Mode of Action)라고 한다. 새로운 모화합물 (Lead Compound)이 찾아지면 그로부터 유사한 화합물이 합성되므로, 농약의 작용기구는 각각의 화학적 구조와 상당한 관련이 있다.
농약의 작용기구 (작용특성에 따른 분류)
구분 | 살균제 | 살충제 | 제초제 |
호흡 저해 (에너지 생성 저해) |
- SH기(해당, TCA cycle) - 전자전달(complexⅠ~Ⅲ) - 수소이온 농도구배(탈공역) - ATP 합성효소 |
- SH기(해당, TCA cycle) - 전자전달(complexⅠ~Ⅳ) - 수소이온 농도구배(탈공역) - ATP 합성효소 |
- 수소이온 농도구배(탈공역) |
세포벽 생합성 저해 | - trehalase (glucose 생성) - chitin 생합성 - cellulose 생합성 - melanine 생합성 |
-chitin 생합성(체벽) | -cellulose 생합성 |
세포막 생합성 및 기능 저해 |
- 인지질(phosphatidyl choline) 생합성 - ergosterol 생합성 -기능 교란(투과성 등) |
- 지질 - 중장 상피세포막 |
- 지질 |
생합성 저해 | - 핵산 및 nucleotide · RNA polymerase · DNA topoisomerase · adenosine deaminase - 아미노산 · methionine - 단백질(합성 개시, 신장, 종료기) |
- nucleotide - 아미노산 · acetolactate synthase · shikimic산 생합성 (EPSP synthase) · glutamine synthase신경기능 |
|
신경기능 저해 | - 신경축색 전달 - synapse 전막 - acetylcholinesterase -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 Ryanodine 수용체 |
||
광합성 저해 | - photosystem(PS) Ⅱ 전자전달 - photosystem(PS) Ⅰ 전자전달 - carotenoid 생합성 - chlorophyll 생합성 |
||
생합성세포분열 저해 | - microtubule 생합성 - spectrin 정위 |
- microtubule 생합성 - 세포분열(방추사 형성 등) |
|
호르몬 기능 교란 | - 유약호르몬(JH) 작용 - 탈피저해 작용 |
- 식물호르몬 작용 | |
신호도입 저해 | - 삼투압 신호전달 효소 | ||
병저항성 증대 | - 전신획득저항성(SAR) | ||
섭식 저해 | - 진딧물 아사 |
작용기구 〔FRAC(Fung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의 분류에 의함〕
다. 농약의 제제형태에 따른 분류
농약 제품은 포장에서 사용할 때 ㉠물에 희석해 살포하는 형태 (희석살포 제형) ㉡포장지 개봉 후 직접 살포하는 형태 (직접살포제형) ㉢살포하지 않 는 특수한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과거에는 물에 녹는 유효성분은 액제 (液劑)나 수용제 (水溶劑), 녹지 않는 성분은 유제 (乳劑)나 수화제 (水化劑)로 제제하였다. 또 직접살포제형은 분제 (粉劑)와 입제 (粒劑)밖에 없어 비교적 단순하였다. 하지만 실제 재배지에 서 희석액을 제조할 때 가루 형태는 바람에 날리는 단점이 있었고, 분제도 동력살분기 (Pipe Duster)를 이용할 경우 표류비산 (漂流飛散)에 의한 소실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제형이 출현하게 되었다.
출처 : https://psis.rda.go.kr/psis/cont/contentMain.ps?menuId=PS00313
농약에대한이해
농약에대한이해
psis.rda.go.kr
'Agro- > Agri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충제의 작용과 특징 (0) | 2024.08.09 |
---|---|
농약의 명명법 (1) | 2024.06.14 |
식물공장 (1) 정의와 특징 (0) | 2024.05.30 |
식물조직배양 기술의 이용 (0) | 2024.05.01 |
친환경 농산물 인증 제도 (0)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