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감자

2023년 감자 보급종 4종 (수미, 조풍, 풍농, 두백)

사로니 2024. 3. 15. 16:12

보급종 감자의 특징

  • 감자는 병리적ㆍ생리적 퇴화가 심하여 일반 재배한 감자를 반복해 심으면 수확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반복적인 종자갱신이 필요함.
  • 보급종 씨감자는 국가가 정한 방법에 따라 엄격한 재배 및 심사를 거쳐 보급되므로 생산성이 높음.
  • 씨감자의 개당 중량은 50~270g으로 다소 불균일 하나, 경제성, 생산성 등을 감안하여 종자산업법으로 정한 규격이므로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파종하면 됨.
  • 공급되는 씨감자에 가뭄 등의 기상여건으로 인하여 기형서(2차 생장서)가 일부 있으나 이는 후대에 유전되는 증상이 아니므로 종서로 사용하여도 이상이 없음.

 

1. 수미 - 봄, 여름재배의 대표적인 품종

1961년 미국에서 육성, 1978년 부터 국내 보급
조생종: 파종 후 100일 수확, 휴면기간: 수확 후 90일, 더뎅이병 강함, 고온건조에 약함
삶은 감자, 샐러드, 감자칩 등

 

전국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조기․다수확 재배에 알맞은 품종이지만 가을재배에는 적당하지 않다. 

과습한 토양에서도 피목비대가 적으며, 상온저장시 환원당 함량이 낮아 가공 적응성이 높은 편이지만 가공용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감자잎말림바이러스 및 역병에 약하므로 채종재배시 진딧물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발아후 초기생육이 약간 지연되므로 생육초기 온도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육아상에서 육묘할 때 온도가 낮으면 맹아가 2차 휴면에 돌입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온도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18~23℃). 

파종전 절단면을 치유한 후 파종하여 종서의 부패를 방지하여야 한다.

 

겨울재배용 씨감자는 고랭지 여름재배에서 채종된 것을 사용해야 싹이 잘 튼다. 저장력이 약하므로 수확 후 상처를 잘 치유하여 저장해야 한다.

 

2. 조풍 - 봄 조기재배용으로 상품화율이 높은 감자

지하부 복지길이가 짧고 표토 가까이에서 괴경이 비대-파종망 멀칭, 배토(북주기)가 요구됨
재배 중 지온이 너무 높으면 휴면이 타파되어 조기맹아를 유발할 수 있음
재배 시 배수가 잘 되고 과습을 방지하여야 되며 모래참흙에서 모양이 좋고 수량성이 높음

 

생육기간이 ‘수미’보다 다소 빠른 극조생의 식용품종이다. 지상부의 초세는 개장형으로 ‘수미’와 비슷하지만 크고 넓은 잎과 뚜렷한 주름 및 광택으로 ‘수미’품종과 구별할 수 있다.

 

괴경의 조기 비대가 빠르며 상서수량이 높아 조기출하에 적합하다. 괴경의 정아우세성이 높고 줄기 수는 ‘수미’보다 약간 적고 상품성 있는 괴경수가 많은 다수성으로 괴경이 줄기 가까이에 착생되어 수확하기 쉽다.

 괴경형태는 조기재배 시에는 편원형으로 ‘수미’와 비슷하나 여름재배시에는 타원형에 가깝고, 괴경의 표피와 육색은 담황색이다.

품질은 작형별로 변화가 있어 여름재배와 같이 괴경비대가 빠른 작기에서는 고형물의 축적이 적으나 조기재배시에는 ‘수미’보다 고형물 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은 편이다. 

감자잎말림바이러스병에는 강하지만 더뎅이병에 약하다. 

 

초기생육이 왕성하므로 봄조기재배시 멀칭을 한 상태에서는 싹이 비닐에 닿아 타지 않도록 출현 즉시 비닐을 찢어주어야 한다.

진흙땅보다는 모래참흙에서 재배할 때 괴경형태가 좋고 수량성이 높은 편이다.

 

재배기간중 지중온도가 너무 고온이면 휴면이 타파되어 조기맹아를 유발하여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고랭지에서 씨감자 채종을 목적으로 재배하고자 할 때에는 큰 감자가 많이 생산되므로 규격서 생산을 위하여 소비․밀식재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풍농 - 식감이 좋고 단맛이 나는 강원도 개발감자

2018년 강원도농업기술원 감자연구소에서 육성·보급
표피가 두꺼워서 녹화가 더디고, 감자괴경 내부 생리장해에 강함
수미와 비슷한 맛(점질형), 수량은 수미보다 많으며(30%높음) 눈 깊이가 얕아 조리 하기 편함
편타원형으로 가공용 작업에 용이하고, 저장성이 매우 우수

 

 

눈이 많지 않아 싹틔우기 기간을 45일 이상 하여야 한다.
계란형의 모양으로 절서 작업시 정아부 눈만 이용하고, 아랫부분은 잘라 내는 것이 파종작업에 수월하다.
습한 토양보다는 다소 건조한 토양에서 수량성이 우수하다.
재식간격은 수미품종에 준하며 주당 간격이 넓으면 큰 대서(400g 이상)가 많으므로 재배형태에 따라 식재간격 조절해야 한다.
퇴비와 시비량은 수미품종에 준하되 과비하지 말아야 한다.

10a당 수량은 4,468kg, 눈 깊이가 얕아 가공작업이 용이하고 장기 저장성이 우수하다.

 

4. 두백 - 분이 많아 찐감자 맛이 좋은 감자

1998년 ㈜오리온에서 육성·보급
환원당 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이 높은 분질성 감자
다비성이며 적절한 수분관리 시 상서율이 높음
은무늬병, 건부병 및 Y바이러스에 비교적 강함

 

감자싹의 크기는 18㎜로 중간이며 모양은 원추형이다. 기부의 안토시아닌 색깔은 적보라이고 기부의 털은 적다. 

싹의 끝부분이 크고 안토시아닌 색깔은 약하며 뿌리원기의 수가 많다. 감자싹 숨구멍의 돌출성은 약하고 측지의 길이는 짧다.
식물체의 형태는 반직립으로 주지의 굵기는 11㎜로 중간이고 안토시아닌 색도의 퍼진정도도 중간이다.
잎의 크기는 중간이고, 녹색의 정도와 주맥의 안토시아닌 퍼진 정도도 중간이다. 소엽 길이는 27㎜, 넓이 17㎜로 중간이며 가장자리 물결모양과 엽맥의 깊이도 중간이다. 소엽 정부 어린잎의 안토시아닌 형성은 없고 단엽 윗부분의 광택의 정도는 중간이다. 

꽃자루의 안토시아닌 색깔의 정도는 연하고 꽃의 수가 많으며 화관이 크고 안쪽부분의 색깔이 백색이다.
식물체 열매의 수가 많고 성숙시기는 대서품종보다 약간 빠르며 괴경은 짧은 계란 모양으로 눈의 깊이는 얕다. 표피색과 눈 기부의 색은 황색이고 괴경 속살색은 유백색이다. 표피의 매끄러운 정도는 중간이다.

 

파종 후 발아 전후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민감한 품종으로 저온에 의한 2차 휴면 발생이 우려되므로 멀칭재배가 유리하다.
조기파종, 무멀칭재배에 의한 저온장해 발생이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정아우세성이 강한 품종으로 반드시 정아(기부의 반대쪽) 중심으로 씨감자를 절단해야 한다.
저온에 민감한 품종이므로, 반드시 보름 정도 싹을 틔운 후 파종한다.

 

 

https://potato.gwd.go.kr/potatoseed/variety

728x90

'Agro- > 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주요 생리 장해 (1)  (0) 2024.03.18
감자 생육단계별 관리사항  (0) 2024.03.18
봄 감자 재배 기술  (0) 2024.03.18
칩 가공용 감자  (0) 2024.03.15
감자 주요 품종별 특성  (0)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