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
- 신선 편의 식품(식약처): 농․임산물을 세척, 박피, 절단 또는 세절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거나 이에 단순히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으로서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샐러드, 새싹채소 등의 식품
- 신선 편이 농산물(농진청): 절단(박피, 다듬기 포함) 및 세척과정을 거친 과일, 채소, 나물, 버섯류로 본래의 식품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위생적으로 포장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농산물
국내 시장규모 및 동향
- 국내 유통 체계 : 기본적으로 유통경로는 농가→생산자단체→산지유통인→도매시장→중도매인→소매업체→소비자 등으로 이어지는 구조로서 5단계가 넘는 경우가 많음.
-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의 규모가 2020년 기준 1조 1,369억 원으로 1조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봄. 가구용 수요를 조사한 결과, 조리용 간편채소와 즉석섭취용 채소․샐러드, 즉석섭취용 컵․조각 과일 모두 구매 의향 점수가 5점 만점에 3.36~3.56점으로 향후 구매 의향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남. 단체급식 시장의 경우 향후 구매 전망 점수가 신선편이 채소는 3.83점, 신선편이 과일은 3.43점으로 모두 높게 나타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소비 특성 : 구입 시 중요 구매 기준: 외관 > 원산지 > 용량 > 가격, 인증 / 주 소비층: 18세에서 34세 사이 젊은 층으로서 주방에서 사용하는 시간은 최소화하면서 신선한 음식 시식 희망
신선편이 농산물의 긍정적 효과
- 소비자의 식생활 개선
- 농산물 소비 증가
- 식품산업의 신수요
- 부가가치 창출
- 음식물쓰레기 감축 등
소비기반 확대를 위한 방안
- 위생‧안전 관리 강화
- 시장정보 제공 확대를 통한 거래 활성화
- 정부 정책과 연계한 안정적 수요처 확보
728x90
'Agro- > Agri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과 스마트농업 (0) | 2024.04.22 |
---|---|
지속가능한 농업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저탄소 농업기술 (0) | 2024.04.17 |
저탄소 농산물 인증과 농업기술 (0) | 2024.03.29 |
조직배양묘의 순화과정 (0) | 2024.03.26 |
1a는 몇 평?? (0) | 2024.03.19 |